-
JSP - JSTL에서 if문 사용하기JSP 2025. 2. 11. 22:40반응형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c:set var="cnt" value="7"/>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c:if test="${cnt%2==0}"> 짝수입니다. </c:if> <c:if test="${cnt$2!=0 }"> 홀수입니다. </c:if> </body> </html>
1. 코드 설명
(1) JSTL 설정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 <%@ taglib>: 이 줄은 JSP에서 JSTL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태그입니다. c는 JSTL core 라이브러리의 접두어(prefix)입니다.
-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JSTL 라이브러리의 URI 경로로, c 접두어를 사용하여 라이브러리 내의 태그들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2) 변수 설정
<c:set var="cnt" value="7"/>
- <c:set>: cnt라는 변수를 7로 설정하는 태그입니다. cnt는 짝수나 홀수를 판별할 값입니다. var 속성은 변수명을, value 속성은 변수에 할당할 값을 정의합니다.
(3) 조건문 - 짝수 판단
<c:if test="${cnt % 2 == 0}"> 짝수입니다. </c:if>
- <c:if>: cnt 값이 짝수인지 확인하는 조건문입니다. test 속성에 조건식을 작성하여 조건이 참일 경우 그 안에 포함된 HTML을 출력합니다.
- ${cnt % 2 == 0}: cnt가 2로 나누어 떨어지면(즉, 나머지가 0이면) 짝수로 판단하고, 해당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4) 조건문 - 홀수 판단
<c:if test="${cnt % 2 != 0}"> 홀수입니다. </c:if>
- ${cnt % 2 != 0}: cnt가 2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즉, 나머지가 0이 아니면) 홀수로 판단하고, 해당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 오류: 원래 코드에서 cnt$2는 문법적으로 잘못된 표현입니다. 올바른 표현은 cnt % 2 != 0입니다. 이는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 아닌 경우(즉, 홀수인 경우)를 체크합니다.
반응형'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 JSTL 반복문 사용하기 (0) 2025.02.11 JSP - JSTL 조건문 swich 사용하기 (1) 2025.02.11 Forwarding이란? (0) 2025.01.30 JSP - 코어태그 <c:out>와 <c:set> (0) 2024.08.30 JSP - EL'{$}' (0) 202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