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 Shell의 개념, 디렉터리 내용 조회/이동/확인linux 2023. 7. 3. 10:46반응형
Shell이란?
Shell 의 사전적인 의미는 껍질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림을 보면 Shell은 우리의 시스템(H/W)를 감싸고 있다.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 Shell로 접근을 하여서 H/W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사용자는 어떻게 Shell에 접근을 하는가?
바로 Terminal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Linux에서 사용하는 Shell 은 Bash를 주로 사용한다. 이 외에도 csh, tcsh, zsh 과 같은 shell들이 존재한다.
기본 쉘 명령어
기능 명령어 메뉴얼 조회 man 파일 목록 / 내용 조회 관련 명령어 ls, cat, head, tail 검색 / 탐색 관련 명령어 grep, find 압축 / 해지 관련 명령어 tar, gzip / gunzip, zip / unzip 시간 관련 명령어 date, cal 기타 명령어 echo, exit, history 관리자 권한 실행 sudo 패키지 매니저 apt 텍스트 에디터 nano 이제 실제로 실습을 통해 한번 알아보자.
메뉴얼 조회
$man ls
이와같이 man ls 명령어를 입력해보자.
이와같이 여러가지 명령어들을 한눈에 확인이 가능하다.
페이지를 이동할때는 방향키를 사용하거나 스크롤을 사용하여도되고, 페이지 단위로 이동을 위해서는
page up, page down 버튼을 사용하면된다.
제일 하단에 노란색으로 표시해둔 부분을 본다면 (press h for help or q to quit)
이와같이 옵션키를 보여주고있다.
Ctrl + C를 이용하여 터미널 창을 나갈 수 있는데 man페이지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여기서는 q를 이용하여 man페이지 종료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렇게 수많은 기능들이 있는데 내가 찾고 싶은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하나하나 체크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다. 이럴때는 /검색어
이와같이 /검색어 를 이용하여 쉽게 검색이 가능하다.
검색어가 중복으로 있는 경우에 방향키와 page up, page down을 이용하여 확인이 가능하지만
/Enter 를 이용하면 다음 검색어로 자동이동한다.
파일 목록 확인 - ls
$ls
ls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터리내의 파일 목록 확인이 가능하다.
디렉터리 이동 - cd
$cd 이동할 디렉터리명
다운로드 디렉터리로 이동을 하였다. 그리고 작업을 끝낸 후 해당 디렉터리에서 빠져나가고 싶다면 $cd ..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한글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우측 상단의 설정이 아래와 동일한지 한번 체크해보자.
현재 디렉터리 확인 - pwd
$pwd
Root 디렉터리로 이동 - cd /
$cd /
cd / 를 이용하여 root로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 에서 ~은 home 디렉터리를 의미한다.
직전의 디렉터리로 이동 - cd -
$cd -
반응형'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시간 및 기타 커맨드 (0) 2023.07.17 [Linux] 압축 관련 커맨드 (0) 2023.07.17 [Linux] 파일 검색 (0) 2023.07.17 [Linux] 파일 내용 검색 (0) 2023.07.13 [Linux] 파일 조회 (0) 2023.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