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
Git - Merge 와 Rebase 차이와 실습Git 2023. 7. 19. 11:04
Merge 와 Rebase 차이와 실습 merge : 두 브랜치를 한 커밋에 이어붙입니다. 브랜치 사용내역을 남길 필요가 있을 때 적합한 방식입니다. 다른 형태의 merge에 대해서도 이후 다루게 될 것입니다. rebase : 브랜치를 다른 브랜치에 이어붙입니다. 한 줄로 깔끔히 정리된 내역을 유지하기 원할 때 적합합니다. 이미 팀원과 공유된 커밋들에 대해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 Merge로 병합하기 add-coach 브랜치를 main 브랜치로 merge main 브랜치로 이동 아래의 명령어로 병합 git merge add-coach add-coach 브랜치와 main브랜치를 merge하게 된다면 위와 같이 병합이 된다. merge는 reset으로 되돌리기 가능 merge도 하나의 커밋 ..
-
Git - Branch 설명 및 실습Git 2023. 7. 19. 10:38
Branch 설명 및 실습 Branch 프로젝트를 하나 이상의 모습으로 관리해야 할 때 여러 작업들이 각각 독립되어 진행될 때 branch를 분리한다면 하나의 프로젝트폴더에서 진행이 가능하다. Branch 생성하기 git branch add-"[branch 명]" ex) git branch add-coach Branch 목록 확인하기 git branch Branch 이동 git switch "[이동할 branch 명]" branch를 생성하고 생성한 branch로 이동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우측 파란색 글씨(branch)가 변경된 것을 확인 가능하다. Branch 생성과 동시에 이동하기 git switch -c "[새로운 branch명]" ex) git switch -c new-teams Branch 삭..
-
Git - Revert, Reset Sourcetree로 진행Git 2023. 7. 18. 16:55
Revert, Reset Sourcetree로 진행 변경사항 만들고 커밋하기 leopards.yaml 삭제 .gitignore에 *.config 추가 hello.txt 추가 (내용 자유) 커밋 메시지: Commit with SourceTree 위의 변경사항을 완료한 뒤 Source Tree를 확인해보자. 이와같이 변경사항들이 있고 해당 내용들을 add하기 위해서는 붉은색으로 표시되어있는 버튼들을 이용하여 add가 가능하다. 변경사항들을 commit하는 방법은 아래와 동일하다. 변경된 내용 커밋 커밋할 메시지와 함께 커밋변경사항까지 완료된 것을 확인이 가능하다. 소스트리 - Revert Add George To Tigers에 해당하는 커밋을 Revert하려고한다. 해당 버전을 우클릭 한뒤 커밋 되돌리기 그..
-
Git - 버전 되돌리기 Reset, RevertGit 2023. 7. 18. 16:27
버전 되돌리기 Reset, Revert revert와 reset의 개념 reset : 원하는 시점으로 돌아간 뒤 이후 내역들을 지웁니다. revert : 되돌리기 원하는 시점의 커밋을 거꾸로 실행합니다. 실습을 통해 알아보자. 실습을 진행하기전에 .git 폴더를 백업해두자! Reset활용해보기 현재 version은 Replace Cheetas with Panthers 버전에 머물러있다. 여기서 한단계 전인 Add team Cheetas로 돌아가보려고한다. git log 를 통해 각각의 commit에 대한 고유 번호를 드디어 사용할때가 왔다. git reset --hard "(돌아갈 커밋 해시)" ex) git reset --hard 27015314e860064f83a1e4b3bcec6f9da7692746..
-
Git - add, commit, 기본 실습 및 설명Git 2023. 7. 18. 11:15
add, commit, 기본 실습 및 설명 단일 파일 추가 git add "[파일명]" ex) git add test.yaml 버전 관리를 위해 add 명령어를 사용하여 추가한다. 모든 파일 추가 git add . 파일 Commit 하기 git commit git commit명령어를 입력하면 위와같이 Vi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Changed to be committed (커밋이 가능한 상태) 목록에 기존에 작업한 파일들이 있다. 그럼 잠시 Vi모드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를 잠시 살펴보자 작업 Vi명령어 상세 입력 시작 i 명령어 입력 모드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 입력 종료 ESC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명령어 입력 모드로 전환 저장없이 종료 :q 저장없이 강제종료 :q! 입력한 것이 있을 때 사용..
-
Git 설정 & 프로젝트 관리, gitignoreGit 2023. 7. 17. 17:31
Git 설정 & 프로젝트 관리, gitignore 1. Git 설정 및 프로젝트 관리 바탕화면에 이와같이 아주 귀여운 실습을 위한 폴더를 생성하였다. Visual Studio에서 New Folder를 통하여 해당 폴더를 열어주고 new terminal 을 실행한다면 별도의 디렉토리 이동없이 바로 해당 폴더로 이동하게 된다. 이제 이 파일을 git으로 관리를 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해보자. git init 이와같이 git init명령어를 사용한 뒤 해당 폴더로 이동하여 숨김파일을 모두 보여주도록 옵션을 바꾸면 .git폴더가 생성되어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it으로 관리를 하던 도중 해당 폴더 (.git)를 삭제하게 된다면 git으로 관리하던 모든 내용이 날아가니 주의하자. 이제 기본 작업은 ..
-
Git - user.name, user.email 설정과 이유Git 2023. 7. 17. 17:06
user.name, user.email 설정과 이유 Git - user.name , user.email 설정 방법과 이유 Git에서 name과 email을 config에 설정하는데, config에 설정되어진 name,email은 파일들을 관리할때 코드를 작성자가 누구인지 또는 작성자의 이메일이 무엇인지 알기 쉽도록 하기위해 설정한다. user name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name]" ex) git config --global user.name "jaycheol" user email.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email]" ex) git config --global user.email "jaycheol@a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