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Git - github원격 저장소 사용하기
    Git 2023. 7. 20. 10:42
    반응형

    원격저장소에서 브랜치를 생성 후 로컬에서 해당 브랜치사용 및 삭제 방법을 알아보자.

     

    ①로컬에서 브랜치 만들어 원격에 push 해보기

    1. from-local 브랜치 만들기

     

     

    git push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여 진행하면 아래와 같이 대상을 명시하라는 메시지 나타남

    해당 의미는 컴퓨터가 from-local 브랜치를 어디에 push해야할지 모르겠다는 의미이다. 

     

     

     

    아래 명령어로 원격의 브랜치 명시 및 기본설정

    git push --set-upstream origin from -local

    여기서 --set-upstream은 -u로 축약 가능 

    git push -u origin from-local

     

    진행 후 github으로 이동하여 branches를 확인해보면 이와같이 from-local 브랜치가 추가되어있다. 

     

     

    이제 로컬에서 브랜치 목록을 살펴보자

    git branch   ===> 로컬의 브랜치만 확인가능
    git branch --all    ===> 원격 브랜치까지 모두 확인가능


    ②. 원격의 브랜치 로컬에 받아오기

     

    1.GitHub에서 from-remote 브랜치 만들기

    git branch --all 로 확인 결과 로컬에서는 새로 만들어진 form-remote 확인이 안된다.

     

    아래의 명령어로 원격 변경사항을 확인해보자.

    git fetch

    변경사항을 확인 후 다시 조회를 해보면 확인이 가능하다

    git branch --all

     

    fetch를 통하여 원격에서 생성된 branch확인이 가능하지만 여전히 gir branch 명령어를 통해 확인한다면 

    로컬에서는 from-remote브랜치 확인이 되지 않는다.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로컬로 받아와보자.

     

     

    여기서 원격의 브랜치(from-remote)를 로컬로 받아야한다.  

    git switch -t origin/from-remote

    원격 브랜치는 로컬로 받아오기위해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는데 여기서 -t 는 origin/from-remote에서 local로 from-remote이라는 브랜치를 복사한 다음에 이후로도 계속 로컬에서 from-remote와 연결하겠다는 의미이다.

    즉 원격에있는 브랜치를 로컬로 받아오겠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origin은 애초에 저장소 이름은 origin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원격 저장소 이름에 흔히 origin 사용. 다른 것으로 수정 가능)

    위의 명령어를 진행한다면 지금 로컬에서 from-remote브랜치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③원격의 브랜치 삭제

    실습을 우이해 만든 브랜치 사용이 끝났으니 원격 브랜치를 삭제해보자.

    우선 from-remote브랜치에서 mian브랜치로 이동해주자.

    git push (원격 이름) --delete (원격의 브랜치명)

    여기서 원격이름은 origin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origin을 입력해주었고 그 후에는 삭제할 브랜치명

    from-remote를 입력해주면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