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JAVA] 람다란 무엇인가?
    Java/JAVA 2025. 10. 22. 17:41
    반응형

    1. 람다란 무엇인가?

    자바 8(Java 8)부터 도입된 **람다(Lambda)**는
    함수를 하나의 식(expression)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즉, **이름 없는 함수(익명 함수)**를 표현하는 문법이에요.
    람다는 자바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Functional Programming)**을 지원하기 위한 핵심 기능입니다.


    2. 기존 메서드 vs 람다식 비교

    구분 전통적인 메서드 정의람다식(Lambda Expression)
    형태 반환타입 메서드명(매개변수) { 본문 } (매개변수) -> { 본문 }
    예시 public int add(int x) { return x + 1; } (int x) -> { return x + 1; }
    공통점 둘 다 입력(매개변수)을 받아 결과를 반환 동일
    차이점 메서드명 있음, 클래스 내부에 정의됨 이름 없음(익명 함수), 코드 간결

    3. 용어 구분: 람다 vs 람다식

    • 람다(Lambda) : “익명 함수”라는 개념 자체를 말함
    • 람다식(Lambda Expression) : (매개변수) -> {본문} 형태로
      자바에서 람다를 구현한 구체적인 문법 표현

    💡 쉽게 말해
    “람다”는 개념,
    “람다식”은 자바에서 그 개념을 쓴 문법입니다.

    실무에서는 그냥 “람다”라고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4. 왜 람다가 필요한가?

    람다를 사용하면 **불필요한 코드(보일러플레이트)**를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익명 클래스”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익명 클래스 사용 예시

    Customer customer = new Customer() {
        @Override
        public void run() {
            System.out.println("hello! lambda");
        }
    };

     -> new, 클래스명, 메서드명, 반환타입 등 반복적으로 써야 함

     

    람다식 사용 예시

    Customer customer = () -> {
        System.out.println("hello! lambda");
    };
    • 불필요한 선언 제거
    • 매개변수와 본문만 남음
    • 코드 가독성 ↑, 유지보수성 ↑


    5. 리턴(return) 생략 규칙

    람다는 하나의 식만 리턴하는 경우 return 키워드와 {}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시 1 — 일반 표현

    (x, y) -> { return x + y; }

     

    예시 2 — 리턴 생략 버전

    (x, y) -> x + y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