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 - 디스크 리소스, 메모리 리소스, CPU리소스 확인linux 2024. 9. 25. 11:02반응형
1. 디스크 리소스 확인 (df)
df 명령어는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디스크 공간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파일 시스템의 용량과 사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df 명령어 주요 옵션들:
- df -h: 사람이 읽기 쉬운(Human-readable) 형식으로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합니다. 즉, GB, MB 등 단위로 출력됩니다.
df -h
출력 예시: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1 50G 20G 30G 40% /
- df -g: GB 단위로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합니다.
df -g
출력 예시:
Filesystem GB_blocks Used Free %Used Mounted on /dev/sda1 50 20 30 40% /
- df -m: MB 단위로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합니다.
df -m
- df -k: KB 단위로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합니다.
df -k
이 명령어들을 통해 사용 중인 디스크의 용량, 사용량, 남은 공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옵션은 출력 단위를 다르게 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게 됩니다.
2. 메모리 리소스 확인
free 명령어
free 명령어는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과 남은 메모리 공간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 free -h: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메모리 정보를 출력합니다. 즉, GB, MB 단위로 메모리 사용량을 보여줍니다.
free -h
출력 예시: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15G 10G 3.2G 500M 2.3G 4.8G Swap: 2.0G 1.0G 1.0G
- free -g: GB 단위로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ee -g
- free -m: MB 단위로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ee -m
top 명령어
top은 CPU, 메모리, 스왑, 실행 중인 프로세스 등의 리소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CPU와 메모리의 현재 사용량을 확인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 top:
top
출력 예시:
top - 14:45:01 up 2:30, 1 user, load average: 0.11, 0.17, 0.14 Tasks: 200 total, 1 running, 199 sleeping, 0 stopped, 0 zombie %Cpu(s): 1.7 us, 0.3 sy, 0.0 ni, 97.7 id, 0.3 wa, 0.0 hi, 0.0 si, 0.0 st MiB Mem : 15862.9 total, 12450.3 free, 1060.3 used, 2352.3 buff/cache MiB Swap: 2048.0 total, 1536.0 free, 512.0 used. 14532.0 avail Mem
topas 명령어 (AIX 시스템용)
topas는 AIX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리소스 모니터링 도구로, CPU, 메모리, 네트워크, I/O 등 시스템 리소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topas
topas는 AIX 시스템 전용이므로 리눅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AIX에서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할 때 유용합니다.
comp 명령어
comp 명령어는 메모리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시스템에서 메모리 압축이 얼마나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주로 스왑과 메모리 압축 상황을 모니터링할 때 사용됩니다. 특정 OS에서만 지원되며, 일부 시스템에서는 사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3. CPU 리소스 확인
top 명령어 (CPU 사용량 포함)
top 명령어는 CPU 사용량을 포함한 시스템 전반의 리소스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CPU의 사용량은 %로 표시되며, 각 프로세스별로 CPU 리소스 소비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op:
top
- CPU 상태 예시:
%Cpu(s): 2.3 us, 1.0 sy, 0.0 ni, 96.3 id, 0.2 wa, 0.2 hi, 0.0 si, 0.0 st
여기서:
- us는 사용자 모드에서 CPU가 사용하는 시간입니다.
- sy는 시스템 모드에서 CPU가 사용하는 시간입니다.
- id는 대기 시간, 즉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vmstat 명령어
vmstat은 CPU, 메모리, 스왑, I/O 등의 정보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CPU와 메모리 상태를 동시에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 vmstat:
vmstat 1
이 명령어는 1초 간격으로 시스템 상태를 업데이트하여 출력합니다.
- 출력 예시:
procs -----------memory---------- ---swap-- -----io---- -system-- ------cpu----- r b swpd free buff cache si so bi bo in cs us sy id wa st 2 0 0 15700 2350 1060 0 0 1 2 50 30 2 1 97 0 0
- 여기서 us, sy, id 등의 값은 CPU 사용 상태를 나타내며:
- us: 사용자 모드에서의 CPU 사용 시간.
- sy: 시스템 모드에서의 CPU 사용 시간.
- id: CPU가 유휴 상태인 시간.
topas (AIX 시스템)
topas는 AIX 시스템에서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률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리눅스에서는 top 명령어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요약
- 디스크:
- df -h: 사람이 읽기 쉬운 디스크 사용량 출력.
- df -g: GB 단위 출력.
- df -m: MB 단위 출력.
- df -k: KB 단위 출력.
- 메모리:
- free -h: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메모리 사용량 확인.
- free -g: GB 단위로 메모리 확인.
- free -m: MB 단위로 메모리 확인.
- top: 실시간으로 메모리와 CPU 사용량을 확인.
- topas: AIX 시스템에서 메모리 사용량 모니터링.
- comp: 메모리 압축 상태 확인 (특정 시스템에서만 사용).
- CPU:
- top: 실시간 CPU 사용량 모니터링.
- vmstat: CPU 및 메모리 상태 간단 모니터링.
- topas: AIX 시스템에서 CPU 사용량 모니터링.
이 명령어들을 통해 디스크, 메모리, CPU 리소스를 모니터링하고 시스템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ps -ef 명령어 (0) 2024.09.25 Linux - tail명령어, tail-f 명령어 차이점 (0) 2024.09.23 Linux - grep tail 명령어 실습으로 파해치기 (0) 2024.09.23 Docker를 통해 Linux 설치 및 tail,grep 명령어 실습 (1) 2024.09.23 [Linux] 시간 및 기타 커맨드 (0) 2023.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