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ocker로 Redis 설치 및 기본 사용법 정리DataBase/Redis 2025. 8. 17. 22:48반응형
🐳 Docker로 Redis 설치 및 기본 사용법 정리
1. Redis 컨테이너 실행
# 컨테이너 상태 확인 docker ps # Redis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name redis-container -d -p 6379:6379 redis # 실행 상태 확인 docker ps
2. Redis 접속
# 이름으로 접속 docker exec -it redis-container redis-cli # ID로 접속 (앞 3~4자리만 유니크하면 OK) docker exec -it e7ea redis-cli
3. Redis 기본 구조
- Redis는 0 ~ 15번까지 총 16개 DB를 제공 (기본 DB는 0)
- DB 전환:
select 10 # 10번 DB로 전환 select 9 # 9번 DB로 전환
4. Key 조회
keys * # 모든 key 조회
5. 데이터 저장 (SET)
set user:email:1 hong1@naver.com
- Key: user:email:1
- Value: hong1@naver.com
➡ 이미 존재하는 key에 다시 set하면, 마지막 값으로 업데이트된다.
6. 조건부 저장 (NX 옵션)
set user:email:2 hong2@naver.com nx
- nx = not exist
- key가 없을 때만 저장, 이미 있으면 무시
7. 유효기간 설정 (TTL - Time to Live)
Redis는 key에 유효기간을 줄 수 있다.
# 10초 후 자동 삭제 set user:email:3 hong3@naver.com ex 10
- ex = expire (초 단위)
- ttl key이름 : 남은 유효기간 확인
8. 사용자 인증정보 예시
# Refresh Token 저장 (100000초 유효기간) set user:1:refresh_token rkskekfk ex 100000
➡ 보통 로그인 시 Access Token, Refresh Token을 함께 저장해 관리한다.
9. Key 삭제
del user:email:1
10. 전체 삭제
flushdb
- 현재 선택한 DB(예: select 0)만 전체 삭제
- 전체 DB를 지우려면: flushall
반응형'DataBase > Red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활용 패턴 및 예시 (2) 2025.08.18